rails+nginx+passenger로 개발을 하면 몇가지 모드가 있다(꼭 이 조합으로 했을때는 아니고 rails에 존재한다)
production
development
test
production은 말그대로 개발한 제품을 출시할때 사용 하는 모드로 캐싱 기능이 켜져있다.
development는 개발할때 사용 하는 모드로 캐싱 기능을 꺼서 개발해서 바로 변경사항이 보일수 있도록 한다.
test는 테스트를 할때 사용하는 모드이다.
enviroments에 관한 설명은 나중에 더 자세히 하고 간단하게 넘기겠다.
아무튼
production모드로 개발을 하려면 한번 변경 할때마다 서버를 껐다 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개발할 때는 development모드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nginx의 경우
rack_env development를
http,server,location ,if configuration 중에 한곳에만 넣고 서버를 재시작을 하면된다
추가 적으로
apache의 경우
RailsEnv development를
global server configuration, virtual host, <Directory>,<Location>, .htaccess, if AllowOverride 등중에 한곳에만 넣으면된다.
위의 옵션들을 적절히 사용하면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레일즈로 개발하거나 deploy할때 특정 프로젝트에만 사용하는것도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development모드를 끄려면 위에 작성한 코드를 지우고 서버를 재시작하면 production모드로 되돌아 간다.
'ruby on rail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ls 에서 갑자기 mysql2에러가 날때 (0) | 2015.09.16 |
---|---|
rails+dragonfly 사용할때 sh: convert: command not found 에러해결 (0) | 2015.07.01 |
rails+nginx+passenger 트러블슈팅 (0) | 2015.06.30 |
rails+nginx+passenger 로 deploy시 css및 자바스크립트 작동안되는 현상 (0) | 2015.06.30 |
rack/cache Be sure to add rack-cache to your Gemfile (LoadError) 에러 (0) | 2015.06.22 |
WRITTEN BY
- rabbbit
필기